해외 장기체류시 필요한 날씨 정보 확인! 계절과 기온 정보로 문화권 이해와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생각할 수 있다.
우리나라 기온과 아래 월평균 기온을 비교해 보고 그외 강수량 정보도 알아두는 것이 좋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최고 | 2 | 4.2 | 8.3 | 12.6 | 17.3 | 20.5 | 23 | 22 | 18.8 | 13.3 | 6.9 | 2.9 |
평균최저 | -2.8 | -1.9 | 0.6 | 3.7 | 7.7 | 10.8 | 12.8 | 12.4 | 10 | 6.2 | 1.4 | -1.7 |
국가구성원 : 켈트계 헬베티아족, 알레만족(북부 독일어권), 부르군트족(서부 이탈리아어권), 랑고바르드족(남부 로망슈어(레토로만어)문화권) 등 복합구성
사용언어 : 독어(62.6%), 불어(22.9%), 이탈리아어(8.2%), 로망슈어(0.5%)
통용 화폐 : 스위스 프랑(CHF)
정식명칭 : 스위스 연방 (Confoederatio Helvetica : Swiss Confederation)
수도 : 베른(Bern)
주요도시 : 취리히(Zürich), 제네바(Geneva), 바젤(Basel), 로잔(Lausanne), 루체른(Luzern)
스위스 국가번호(국제전화) : +41
스위스 거주 한인 재외동포 근황 : 약 4,000명(한국국적자와 스위스국적자가 거의 동일하게 50% 비율)
스위스 한인연합회(Federation of Korean Association in Switzerland): 산하에 4개 지역 한인회(취리히, 베른, 레만, 동부)가 있슴
표준시 : UTC+1 (CET), 우리나라와 8시간 시차
1) 유치원(Kindergarten)
○ 취학연령은 5~6세이나, 의무교육은 아님 (의무교육은 초등부터 시작)
○ 유치원에서 읽기, 쓰기 등을 가르치는 것보다는 친구와 어울리기, 조용히 앉아있기,
선생님의 말씀에 주의 기울이기 등, 행동발달과 사회규범에 초점을 맞추는 교육
2) 초·중등학교(Volksschule : "Elementary School")
○ 초등부터 9년의 의무교육시작
○ 초등학교 취학연령은 7세, 스위스내 거주하는 아동은 의무적으로 공립 또는
사립학교에 취학
○ 최초 6년 과정(우리나라 초등학교)은 ‘Primarschule’라고 하며, 교사 1명이 한 학급에 대해 모든 교과목을
가르침.
○ 이후 3년 과정(우리나라 중학교과정)의 ‘Sekundarschule’ 또는 ‘Realschule’에 진학함.
- Sekundarschule : 성적이 우수한 학생 대상,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고등학교(Gymnasium) 진학 희망자들에게 필수 과정
- Realschule : 일반고등학교 진학 대신 취업 목적으로 직업교육(우리나라 특성화고등에 해당)을 희망하는 학생 대상
3) 직업훈련학교(Berufslehre : Apprenticeship, 우리나라 특성화고의 성격을 지님)
○ 초·중등학교(9년) 졸업 이후 직업훈련학교(Berufslehre)에 진학하며, 2~4년이 소요됨.
○ 수공(기계공, 목수, 제빵기술자, 미용사 등) 및 사무직(비서, 부기 등)을 포함한 모든
분야의 직업훈련
○ 직업훈련과정을 마친 후 취직을 하거나 상급학교(Fachhochschule 등)에 진학하여
학업을 계속할 수도 있슴
○ 직업훈련을 택할 경우 다수 기업체가 후원하기 때문에 학비부담 없이 실무위주
교육(약간의 이론교육 포함)을 받게 됨
4) 고등학교(Gymnasium : "Secondary School"),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일반 고등학교
○ 독어로는 “김나지움”, 불어로는 리쎄(lycée)라 불리며, 주요 교과목별로 학교가
분류됨.
○ Gymnasium 진학 희망자는 우리나라의 중학교 3년과정에 해당하는 ‘Sekundarschule’를 졸업해야 하며 입학 후 본인 선택에 따라 아래 과목의 중점
교육을 이수함.
- 수학 및 과학 중점교육
- 언어 중점교육
- 경제학 중점교육
○ 일반 대학교 진학 희망자는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 진학 자격증에 해당하는 ‘Matura’ 시험에 통과해야 한다.
여러 유럽국가와 마찬가지로 Matura는 대학 입학을 위한 최소한의 자격요건이며 각 대학마다 요구사항은 추가 될수 있다.
국제 학교 컨설팅(ISC-the International Schools Consultancy)은 스위스에 103개의 국제 학교(IB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international school)가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ISC는 '국제학교 international school'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학교가 유아원, 초, 중등과정(우리나라의 고등학교 과정 포함) 커리큘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영어권 국가가 아니면서 영어로 교육하는 경우, 또는 다음의 경우에는 ISC에서 국제학교로 인정한다.
영어가 공식 언어 중 하나인 국가의 학교는 해당국의 국가 커리큘럼이 아닌 영어 매체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그 방향이 국제적이어야 한다.
스위스는 1968년에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가 처음 창설된 곳이다. 스위스의 50개 학교는 하나 이상의 IB 프로그램(초등, 중등, 디플로마 및 직업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총 12개의 대학교가 있으며, 연방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연방공과대학교 2개 학교와 주정부 관할 하에 운영되는 일반대학 10개 학교가 있다. 특히 연방공과대학교로서 ETH와 EPFL은 세계적인 대학으로 유럽대학 중에서는 첫번째로 꼽히고 세계 대학순위에서도 최상위에 랭크되어 있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세계 대학 중 상위에 꼽히고 있어 대학 교육에서 국제적 명성을 가지고 있다. 스위스 대학은 인문·사회보다도 고부가가치의 과학·공학 또는 실용기술을 중시하는 제도로 편성되어 있다.
- 기타 대학수준의 고등교육기관
1) 대학원 수준의 고등 교육기관
○ 대학원 수준의 고등 교육기관으로 HEI(Institut universitaire de Hautes Études Internationales, 제네바 소재) 등 5개가 있으며, 이들은 석박사 과정을 중심으로 하나, 최근에는 학부 과정도 설치 운영 중으로, 특정 학문 분야에 특화되어 있다.
2) 응용과학대학교(UAS :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
○ 직업훈련을 마친 후, 학업을 계속하고자 하는 경우 진학하게 되는 3년 과정의 대학
○ 응용과학대학은 스위스 전국을 7개 권역으로 나누어 권역별로 1개교가 지역정부와 국내외 기업 후원 하에 운영되어 왔으나, 2005.4월 1개 사립 기술전문대학이 정부에 의하여 인가됨으로써 총 8개가 운영 중
○ 교과과정이 연방공과대학과 유사하며, 3년간 실험 및 현장실습을 위주로 하여 실제 경험적 교육체험이 풍부하다고 볼 수 있다.
○ 직장생활을 병행할 수 있는 야간과정도 있다.
3) 기타
○ 교사 양성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으로 전국 각지에 14개의 사범대학이 운영되고 있다.
○ 1개의 신학대학이 바젤에서 운영중
4) 호텔학교
○ 스위스에서 호텔학교는 설립이 자유롭고, 사립직업교육과정으로서 교육의 질이나 학교평가 등에 정부 교육당국이 전혀 관여하지 않음에 따라, 호텔학교 유학시 학교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 스위스 호텔학교협회(Swiss Hotel School Association, 사립단체)에 소속된 호텔 학교는 15개교가 있으며, 학교별로 2년-3.5년 기간의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웹사이트: www.aseh.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