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장기체류시 필요한 날씨 정보 확인! 계절과 기온 정보로 문화권 이해와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생각할 수 있다.
우리나라 기온과 아래 월평균 기온을 비교해 보고 그외 강수량 정보도 알아두는 것이 좋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최고 | 6.9 | 8.2 | 11.8 | 14.7 | 19 | 21.8 | 24.4 | 24.6 | 20.8 | 15.8 | 10.4 | 7.8 |
평균최저 | 2.5 | 2.8 | 5.1 | 6.8 | 10.5 | 13.3 | 15.5 | 15.4 | 12.5 | 9.2 | 5.3 | 3.6 |
국가구성원 : 골족, 프랑크족
사용언어 : 프랑스어
통용 화폐 : 유로(EURO)
표준시 : UTC+1 (Central European Time) 우리나라와 8시간 시차
국제전화 코드 : +33
프랑스의 의무교육 시작 단계인 초등과정 정규교육은 만6세 부터이지만 유치원(école maternelle)이 초등학교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3세부터 유치원 과정으로 초등교육을 시작한다고 볼수 있다.
초등학교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전문 교과목 교사없이 전체 교육과정을 가르치는 담임 교사 한명(또는 두명)인 있는 경우가 많다.
학생들은 10~11세가 될 때까지 5년 동안 초등학교에 다닌다. 학년 등급은 다음과 같이 5개 학년으로 나뉜다.
CP(cours préparatoire)
CE1(cours élémentaire 1)
CE2(cours élémentaire 2)
CM1(cours moyen 1)
CM2(cours moyen 2)
프랑스의 중등교육은 우리나라 중학교에 해당하는 꼴레주(collège)에서 4년간 공부하고 우리나라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리세(lycée)에 진학하여 3년 과정을 이수한다.
중, 고등과정 필수 과목에는 프랑스어, 문학, 역사 및 지리, 외국어, 예술 및 공예, 음악 교육, 공민, 수학, 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기술 및 체육 등이 있다.
졸업을 앞둔 시기(마지막 3학년)에 학생들은 바칼로레아(학사 학위, 구어로 le bac로 불림) 또는 CAP(Certificat d'aptitude)를 준비한다. 바칼로레아는 대학교로 진학하거나 직업 생활로 바로 진출하는데 필요하다.
바칼로레아에는 일반 바칼로레아(baccalauréat général 대학진학), 기술 바칼로레아(baccalauréat technologique), 전문 바칼로레아(baccalauréat professionnel)의 세가지 유형이 있고 각 유형이 매우 다르다.
바끄(bac)라고도 불리는 바깔로레아(Baccalauréat)는 학생들이 대학 진학, 수업준비 혹은 전문적인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프랑스의 국가학업 자격(고등학교 졸업장)이다.
유사한 학업 자격으로 유럽의 다른지역에서 실시하는 예시로는 독일의 Abitur, 이탈리아의 maturità, 스페인의 bachillerato, 스위스, 벨기에, 오스트리아의 Matura 등이 있고 우리나라의 수학능력평가, 미국의 SAT 등이 유사한 시험이다.
또한 유럽 학교 교육을 마친 후에 수강하는 유럽 학사 학위(European Baccalaureate)도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응시하는 일반 바깔로레아(baccalauréat général)에는 세가지 종류가 있다.
S(série scientifique) : 자연과학, 물리, 수학, 공학
ES(série économique et sociale) : 경제, 사회과학
L(série littéraire) : 프랑스어, 외국어, 철학 등 인문학
프랑스의 공립대학은 인근 주요 도시의 이름으로 불리고, 도시에 대학이 여러 개인 경우 숫자가 붙는다. 예를 들어 파리(파리 인근 외곽 대학 포함)에는 파리 I부터 XIII까지 13개의 대학이 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유명한 사람이나 특정 장소의 이름과 같은 좀 더 비공식적인 이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유명한 졸업생을 존경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예시로 스트라스부르의 과학 대학은 "Université Louis-Pasteur"로 알려졌지만 공식 명칭은 "Université Strasbourg I")
프랑스 시스템은 대학 연구에 대한 유럽 표준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혁인 볼로냐 프로세스를 거쳐, 학사과정 3년과 석사과정 2년을 채택하고 있다.
프랑스의 그랑제꼴은 엘리트 고등교육기관이다.
일반 대학과는 지원자격과 선발방법, 이수기간, 수업방식, 진로 등에서 차이가 있다.
주로 단일 주제영역의 전문교육에 중점을 두고 수준높은 교육을 하고 있으며 실제적인 교육이 이루어진다.
규모가 작고 매우 선별적이며 프랑스의 과학자나 경영전문인 대부분이 그랑제콜을 졸업했다.
우수한 학생들은 일반대학보다 그랑제꼴을 희망하므로 경쟁이 치열하고 매우 어려운 입학 시험을 거쳐야 한다.
그랑제콜 준비반(CPGE)에 들어가려면 바깔로레아에 합격해야 하고 고등학교 최종학년의 성적표와 교사의견서를 제출해야 한다.
2년 과정의 준비반 교육을 이수한 후 서류전형과 입학시험을 통해 그랑제꼴에 입학한다.
그랑제꼴의 재학기간은 3년 또는 4년이며, 그랑제꼴을 졸업하려면 바깔로레아 이후 보통은 5~6년이 걸리므로 일반대학보다 학업 기간이 길다.
전국 순위는 해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아래의 상위 그랑제콜은 수십 년 동안 이름을 상위권에 올리고 있다.
과학 및 공학:
Écoles Normales Supérieures
École Polytechnique, Mines ParisTech
Télécom Paris, ISAE-Supaéro
Ponts Paristech
Ecole Nationale de l'Aviation Civile
CentraleSupélec
인문학:
Écoles Normales supérieures
École des Chartes
CELSA – Sorbonne
비즈니스:
HEC Paris, NEOMA Business School
ESSEC Business School
ESCP Europe
INSEAD, EMLyon
Audencia
Grenoble École de Management
INSEEC
EDHEC
행정 및 정치 과학:
ENA
Sciences Po.
아래 내용은 주한 프랑스대사관 교육진흥원에서 한국학생의 프랑스 대학 지원 원서 접수(Dossier Blanc 일반대학 전형)를 받는 경우에 해당하며 한국에서 학업을 마치고 한국에서 거주하는 학생 대상의 내용이므로 한국국적자이더라도 해외 거주자는 주한 프랑스대사관을 통한 아래 자격요건으로 접수 할수 없음을 유의 바랍니다.
※ 참고
DAP : (사전입학신청-Demande d’Admission Préalable)
Dossier Blanc : White Folder, (국립대학 1학년 입학, 3개 학교 지원)
Dossier Jaune : Yellow Folder, (국립건축학교, 2개 학교 지원)
응시 자격(모두 충족할 것)
- 고등학교 졸업에 준하는 과정을 이수하여 대학 입학 자격이 될 것
- 프랑스 외의 국가에서 학업을 마칠 것(프랑스에서 학업을 마친 경우는 다른 기준 적용됨)
- 한국에 거주 할것 (이외 지역 거주자는 다른 기준으로 지원할 것)
원서 접수를 위해서는 최소 B2 이상의 프랑스어 어학성적을 소지하고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반드시 알리앙스 프랑세즈에서 11월 첫주에 시행되는 TCF 시험(※접수마감 10월 중순)을 치러야 한다.
지원 접수 기간
매해마다 날짜 공지가 달라질 수 있으나 대체로 11월 1일부터 12월 중순까지 주한 프랑스대사관으로 등기우편 송부함
전형 절차
1단계: 온라인 회원 가입 및 서식 작성
Etudes en France 사이트(https://pastel.diplomatie.gouv.fr/etudesenfrance)에서 회원가입 후 지원에 필요한 정보를 기입한다. 온라인 지원 서식 작성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하단의 매뉴얼을 확인할 것.
지원 마감일까지 온라인 서식 입력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출한 지원서는 접수되지 않으며, 자동적으로 반환 처리된다. 또한 지원한 학교측에서 확인하게 되는 내용은 온라인 입력 내용이므로 우편으로 제출하는 서류와 반드시 동일하게 입력되어야 한다.
2단계: 서류 제출
온라인 서식 입력을 완료한 후 아래의 공통 제출 서류와 학업 증빙 서류를 구비하여 등기 우편으로 기한내에 송부한다.
우편 접수 주소 – 서울시 중구 통일로 86, 바비엥 3, 10층 프랑스대사관 교육진흥원 Campus France (우편번호 04517)
※ 프랑스문화원 주소가 아닌 위의 캠퍼스 프랑스 주소로 보낼것.
* 공통 제출 서류
1) 사전입학 요구 신청서: 하단의 첨부파일(Formulaire DAP Blanc)을 다운로드 받아 작성 후 인쇄하여 제출(해당 양식은 우편 서류 발송 시에만 제출하며, Etudes en France 사이트 상에는 업로드하지 않는다.)
2) 이력서: 하단의 첨부파일(Mon CV)을 다운로드 받아 작성 후 인쇄하여 제출(수기 작성 금지).
3) 지원 학교별 동기서: 하단의 첨부파일(Lettre de motivation_Blanc)을 다운로드 받아 작성 후 인쇄하여 제출(수기 작성 금지).
4) 언어 시험 증명서: B2 이상 어학증명서 소지자의 경우 증명서 원본 및 사본(원본은 면접 후 학생에게 우편 반환), 11월에 치르는 TCF 성적표는 마감기한 보다 결과 수령이 늦어지는 경우 응시표(Convocation) 제출 후 결과를 받는대로 추가 제출.
LEA 또는 LLCE 과정을 지원하는 학생의 경우 선택한 외국어의 요구 조건을 학교사이트에서 확인 후 제출.
※ 참고: TCF 어학시험 면제 대상
1. 프랑스어가 공식언어인 국가 출신자 및 프랑스어를 이중언어로 하는 교육과정을 밟은 자
2. DELF B2 또는 DALF 소지자
3. CCIP주관의 TEF 필기시험 14점 이상 득점자
5) 행정비용 납부 영수증 (이체확인증, 입금확인증, 명세표 등): 행정비용 333,000원(삼십삼만삼천원)을 다음 계좌로 입금한 후 서류 제출 시 증빙서류를 제출. 입금은 반드시 지원자 명의로 할것
- 입금 계좌: IBK기업은행 037-062826-01-011, 프랑스문화원 (Etudes en France 상에서 온라인 서식 최종제출 후에는 행정비용 환불 신청 불가)
6) 여권 사본: 합격 이후 학생비자 신청 시에는 출국예정일을 기준으로 유효기간이 15개월 이상 남아있어야 한다.
* 학업 증빙 서류
아래의 학업 상황 중 본인에게 해당되는 경우의 서류를 준비하여 프랑스어 번역 및 주한 프랑스대사관 번역 확인 공증을 모두 받아 제출하셔야 합니다. 관련 사항은 다음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링크
A. 2023년 2월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
프랑스어로 번역공증된 고등학교 졸업예정증명서, 고등학교 성적표, 대학 합격증명서. 각각 원본 및 사본 1부씩 제출(불문 및 국문 모두 복사하여 제출, 원본은 면접 후 학생에게 우편 반환).
*추후 졸업증명서 원본(국문) 제출(공증 불필요).
B.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 합격증 취득자
- 고등학교 졸업생
프랑스어로 번역공증된 고등학교 졸업증, 고등학교 성적표, 대학 합격증명서. 각각 원본 및 사본 1부씩 제출(불문 및 국문 모두 복사하여 제출, 원본은 면접 후 학생에게 우편 반환).
- 검정고시 합격자
프랑스어로 번역공증된 검정고시 합격증, 검정고시 성적표, 대학 합격증명서. 각각 원본 및 사본 1부씩 제출(불문 및 국문 모두 복사하여 제출, 원본은 면접 후 학생에게 우편 반환).
C. 국내 또는 해외 대학에 재학한 적이 있는 자
프랑스어로 번역공증된 고등학교 졸업증명서 (또는 검정고시 합격증), 대학 재학증명서 (또는 휴학 증명서, 제적 증명서), 대학 성적증명서. 각각 원본 및 사본 1부씩 제출(불문 및 국문 모두 복사하여 제출, 원본은 면접 후 학생에게 우편 반환).
*재학 기간이 2년 미만인 경우 고등학교 성적 증명서도 번역공증받아 제출
**학업 증빙 서류 공증에 관련하여 현재 대학 재학 또는 휴학 중인 경우에는 서류제출 시점 기준 3개월 이내에 발급된 서류만 제출가능
D. 국내 또는 해외 대학의 학위 소지자
프랑스어로 번역공증된 고등학교 졸업증명서, 대학 졸업증명서, 대학 성적증명서. 각각 원본 및 사본 1부씩 제출(불문 및 국문 모두 복사하여 제출, 원본은 면접 후 학생에게 우편 반환).
*대학원 재학중이거나 졸업한 경우 대학원 재학(또는 졸업)증명서, 대학원 재학기간 성적표도 마찬가지로 공증받아 제출
※ 학업 서류 공증본의 프랑스어 표기 내용을 반드시 확인하고 제출할 것, 또한 온라인 서식 상에 관련 서류를 스캔하여 업로드해야 하므로 글씨 크기가 너무 작지 않게 작성되어야 하며, 성명, 학위명, 성적 등이 잘못 기재된 경우 입학심사 절차 중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3 단계: 온라인 서식 및 서류 심사 / 면접일 통보
서류 접수 마감 후 Etudes en France 온라인 서식 및 제출 서류에 대한 심사가 진행되며, 서식 작성 미완료 또는 서류 미비의 경우 지원서가 반환될 수 있다. 지원서가 정상적으로 심사된 이후에는 개별적으로 면접 일정을 이메일로 통보. 면접일정에 관련하여 별도의 문의는 받지 않음.
4 단계: 면접
면접은 프랑스어로 진행되며(영어 프로그램의 경우 영어로 진행), 학생의 학업계획 및 동기에 관한 질의응답으로 이루어진다. 학생비자 사전영사심사 면접과는 구분되는 입학전형 면접이므로 본인의 학업계획 및 동기에 관해 잘 설명할 수 있도록 준비.
5 단계: 결과 확인 / 학생비자 신청 준비
면접 이후에는 Etudes en France 개인 페이지를 통해 지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학교측에서 개별적으로 안내사항을 보낼 수 있으므로 메시지함도 반드시 확인. 합격 결과를 받은 경우 최종적으로 진학할 1개의 과정을 선택하고, 추후 별도의 안내 사항에 따라 학생비자 발급신청을 준비
– 전형 일정 (2023-2024 전형에 관한 일정)
2022년 11월 13일: 어학능력평가시험 (TCF TP+ECRITE) 진행 (접수: https://www.afseoul.or.kr/ko/)
2022년 12월 15일: Dossier Blanc 신청서류 접수마감 (행정비용 확인 및 서류심사는 마감일 이후에 일괄적으로 진행)
2022년 12월 16일 – 2023년 3월 15일: 제출 서류 및 온라인 서식 심사, 면접
2023년 4월 30일까지: 학교측 지원 결과 발표
2023년 5월 31일까지: 학생 최종 선택 (합격 결과를 받은 후에는 진학여부를 결정하고 학교측에서 요구하는 경우 반드시 Lettre de confirmation을 송부해야 합니다.)
« 지원결과 발표는 학교의 입학심사 일정에 따라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정해진 일정에 비해 상당 기간 발표가 지체되는 경우, 지원 학교에 직접 메시지함을 통해 연락을 취하기 바랍니다. 지원한 대학으로부터 불합격 통보를 받았을 경우 결과는 번복되지 않습니다. »
"Etudes en France"(프랑스 유학) 절차는 프랑스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 위한 기준이다. 이 절차에 해당하는 국가 아래와 같다.
알제리, 아르헨티나, 아제르바이잔, 바레인, 베냉, 볼리비아, 브라질,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캄보디아, 카메룬, 캐나다, 차드, 칠레, 중국, 콜롬비아, 코모로, 콩고, 콩고민주공화국, 지부티, 도미니카공화국, 에콰도르, 이집트 , 에티오피아, 가봉, 조지아, 가나, 기니, 아이티,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이스라엘, 코트디부아르, 일본, 요르단, 케냐, 쿠웨이트, 레바논, 마다가스카르, 말레이시아, 말리, 모리타니, 모리셔스, 멕시코, 모로코, 네팔, 니제르, 나이지리아, 페루, 카타르,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세네갈, 싱가포르, 남아프리카공화국, 한국, 대만, 태국, 토고, 튀니지, 터키, 우크라이나, 아랍에미리트, 영국, 미국, 베트남.
"Etudes en France" 절차에 해당하는 국가에 거주하는 경우
1) 국적을 가진 국가에서 거주하는 경우 (예시, 한국인이 한국에 거주하는 경우)
프랑스 또는 유럽 바칼로레아/A-레벨을 준비하는 경우 "Parcoursup" 플랫폼에서 원하는 학업 과정을 선택하고 "Etudes en France" 프로세스에 맞추어 입력한다.
다른 대입자격을 준비하는 경우(고등 교육에 대한 접근 허용) "Demande d'Admission Préalable - DAP(예비 입학 요청)을 작성하고 "Etudes en France" 절차를 따라야 한다. DAP는 온라인으로 작성할 수 있다.
2) 거주지 상관없이 유럽 연합 또는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스위스, 안도라, 모나코 국가의 국적을 가지고 있다(예를 들어, 세네갈에 거주하지만 독일 국적을 가지고 있는 경우). "Parcoursup" 플랫폼에 학업 선택을 입력한다.
지원자의 국가에 있는 Campus France(대체로 주재국 프랑스대사관) 사무소에서 절차를 완료하는 데 도움을 받을수 있다.
3) 비유럽 국적자이면서 본국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본인 국적은 "Etudes en France" 해당되지만)와 "Etudes en France" 해당되지 않는 국적자는 프랑스 교육부 내용과 "Etudes en France"에 해당되지 않는 학생의 입학 조건을 참고할 것
아래는 2024/2025학년도 대학 입학지원 스케줄 (매년 비슷한 스케줄로 반복되니 참고할 것)
Parcoursup 플랫폼 오픈: 2022년 12월 20일
(※Parcoursup은 프랑스 교육부와 프랑스 고등교육연구혁신부가 설계한 웹 포털로, 프랑스 대학 및 기타 고등 교육 기관의 학부 입학 정원과 고등학교 졸업장을 소지한 지원자 간의 균형을 관리)
등록 시작 및 완료: 2023년 1월 18일~3월 8일
학업 선택 목록을 다음 날짜 이전에 완료하세요: 2023년 4월 6일
주요 입학 단계 개시: 2023년 6월 1일
주요 입학 단계 종료: 2023년 7월 13일
DAP – Demande d'Admission Préalable (예비 입학 요청)
2023년 10월 1일 등록 시작 ~ 2023년 12월 15일에 마감
지원서는 지원자가 요청한 3개 대학에서 동시에 심사
대학의 합격여부 통지 및 승인: 2024년 4월 30일 이전
통지할때 대학에서는 지원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항 함께 통지
학생의 등록 여부 회신: 2024년 5월 31일 이전
여러 개의 합격을 받았다면 선택을 하고 5월 31일까지 답변을 하지 않으면 거절로 간주되니 주의해야 한다.
학사 학위 또는 석사 학위의 2~3년차부터 프랑스에서 계속 공부하려면 학생 비자를 받는 과정까지 "Etudes en France" 절차에 따라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거주 국가의 Campus France 에 문의하면 도움 받을 수 있다.
(Campus France 각 거주국 사무소 사이트)
박사 과정에 등록하려는 경우 "Etudes en France" 절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관심 있는 연구 주제를 제공하는 박사 과정에 문의하하거나 Campus France 카탈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긍정적인 답변을 받으면 거주 국가의 프랑스 영사관이나 대사관에 "talent passport" 비자를 요청하는 것이 좋다.
※ Talented passport: multi-year residence card of a foreigner in France
프랑스 내 외국인의 다년 거주 카드 : 비유럽계 외국인이고 프랑스에서 3개월 이상 일하고 거주할때, 조건에 따라 다년간 체류 허가되는 여권이며 체류 예정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 반드시 신청해야 한다.
(카드 신청 방법, 필요서류, 체류카드 비용(수수료)에 대한 내용은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
체류기간이 3개월 이상 1년 미만인 경우 long-stay visa as residence permit (VL-TS) (거주허가(VL-TS)된 장기체류비자)이면 충분하다.
유학비자 소지자 체류증 신청
* VLS-TS비자 : 입국 후 1년간 체류증을 대체하는 체류비자
o (신청시기) 유학비자 소지자는 비자 만료 최소 2개월 전까지는 반드시 체류증 신청을 해야한다.
o (신청장소) 외국인 유학생은 재학 중인 대학교내 외국인 유학생 전용창구(guichet unique)에서 체류증 신청이 가능하다. (또는 거주지 관할 경시청에서도 가능)
o (체류증 기간) 유학생 체류증은 원칙적으로 다년간 유효한 체류증이 발급되며, 구체적인 유효기간은 등록과정의 잔여기간과 동일하다.
o (체류증 신청시 제출서류)
- 여권(신원정보면, 입국 스탬프 날인면 사본)
- 유학비자 및 대학교 등록확인서
- 출생증명서(acte de naissance)
- 최근 6개월 내 주소지 증빙서류(본인명의 임대차 계약서 사본 또는 전기료(또는 가스료, 인터넷 요금 등) 영수증
* 본인 명의가 아닌 경우, 임대주 이름으로 된 전기료(또는 가스료, 인터넷 요금)영수증 및 임대주의 신분증 사본, 거주증명서(attestation d'hébergement)
- 사진 3매(3.5 * 4.5)
- 재정능력 입증서류(은행잔고증명서(월 한도액 이상 항상 잔고 있을 것) 및 송금증명서, 부모님의 월급명세서 등)
- 의료보험 증서
- 재학 학교에서 발급한 성적증명서, 출석확인서(attestation d'assiduité)
- 프랑스 정부수입인지(timbre fiscal : 프랑스 국세청(https://timbres.impots.gouv.fr/ 에서 온라인 구매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