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bound

outbound

Canada

Canada

해외 장기체류시 필요한 날씨 정보 확인! 계절과 기온 정보로 문화권 이해와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생각할 수 있다.

우리나라 기온과 아래 월평균 기온을 비교해 보고 그외 강수량 정보도 알아두는 것이 좋다.

*월별 평균기온*

(기준 도시: 토론토)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최고기온 -1.1 -0.2 4.6 11.3 18.5 23.5 26.4 25.3 20.7 13.8 7.4 1.8
최저기온 -7.3 -6.3 -2 3.8 9.9 14.8 17.9 17.3 13.2 7.3 2.2 -3.7

국가구성원(Top10) : 캐나다인, 영국계, 스코틀랜드계, 프랑스계, 아이리쉬계, 독일계, 중국계, 이태리계, 원주민, 인도계, 우크라이나계

사용언어 : 공용어로서 영어, 불어

통용 화폐 : 캐나다 달러 CAD

캐나다 국가번호(국제전화 코드) : +1

표준시간(우리나라와의 시차) :
- 퍼시픽 타임존(GMT-8), 우리나라보다 17시간 늦음 (브리티시 콜럼비아, 유콘, 벤쿠버)
- 마운틴 타임존(GMT-7), 우리나라보다 16시간 늦음 (앨버타, 노스웨스트, 테리토리스, 에드먼턴, 캘거리)
- 마운틴 타임존(GMT-6), 우리나라보다 15시간 늦음 (사스카츄완, 매니토바, 누나바트, 온타리오, 위니펙)
- 마운틴 타임존(GMT-5), 우리나라보다 14시간 늦음 (온타리오, 퀘벡, 오타와, 토론토, 위니펙)
- 마운틴 타임존(GMT-4), 우리나라보다 13시간 늦음 (퀘벡, 노바스코샤, 프린스에드워드 섬, 뉴브런스윅, 핼리팩스)
- 마운틴 타임존(GMT-3.5), 우리나라보다 12시간 30분 늦음 (뉴펀들랜드 섬, 세인트존스)

캐나다의 교육


학 제

초등, 중등, 중등 교육을 합쳐 K-12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 Kindergarten through Grade 12)라고도 하고 의무교육 시스템이다.

캐나다의 교육정책은 주 정부에 의해 관리되므로 학제 방식은 각 지역, 학군, 개별 학교마다 다를 수 있고 중등학교를 운영하는지의 여부도 확인해야 한다.

대부분의 고등학교는 18세에 졸업하고, 퀘벡의 경우 17세가 되는 해에 졸업한다.

초등 교육

1학년(5~7세, 평균 6세)은 6세가 되는 해에 시작

2학년(6~8세, 평균 7세)

3학년(7~9세 평균 8세)

4학년(8~10세, 평균 9세)

5학년(9~11세 평균 10세)

6학년(10~12세, 평균 11세)

중급교육

7학년(11~13세, 평균 12세)(퀘벡은 이때 중등학교 시작)

8학년(12~14세, 평균 13세)(B.C. 일부 지역에서는 고등학교가 8학년에 시작)

9학년(13~15세, 평균 14세)

중등교육

10학년(14~16세, 평균 15세)

11학년(15~17세, 평균 16세)(퀘벡의 중등교육은 이때 완료)

12학년(16~18세 평균 17세)


12학년은 현재 모든 주정부 중등 교육 과정의 최종 학년으로 사용한다. 단, 퀘벡의 중등학교는 중등 V/11학년에 종료된다. 11학년 졸업 후 추가 학습을 원하는 학생들은 고등 교육기관(대학과정)에 다닐 수 있다. 퀘벡은 현재 12학년을 고등교육(대학) 수준의 일부로 취급하는 유일한 주이다.

북미 전역의 많은 대학에서는 국제학교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및 AP(Advanced Placement) 과정에서 탁월한 성적을 거둔 학생들에게 높은 점수를 준다.

장기 정학을 받았거나 퇴학을 당했거나 기타 일반 학교에 다닐 수 없거나 출석을 꺼리는 중등 학교 연령의 학생에게는 중등 교육을 이수하기 위해 드롭인 프로그램, 야간 학교, 원격/온라인 수업 등의 대체 학습 옵션이 제공될 수 있다. 점점 더 많은 수의 유학생들이 캐나다 중등학교의 고등교육(대학진학)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수업일수/ 학기시작과 종료

캐나다는 일반적으로 연중 190일(퀘벡의 경우 180일)의 수업일수를 가지며, 공식적으로 9월(노동절 이후)부터 6월 말(보통 6월 말)까지 학기가 열린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지역 학교에서는 교육부가 학년도의 최소 교육 시간을 결정하지만, 그외 지역은 지역교육청에서 학년 시작 및 종료, 수업일수, 비교육 시간 수를 결정할 권한을 갖는다.
학년은 일반적으로 9월 초부터 6월 중순/말까지 진행되지만 전국적으로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주관하는 국제 학생 평가 프로그램(PISA)에서 현재 캐나다 15세 학생들의 전반적인 지식과 기술은 세계 6위로 평가되고 있다.
25~64세 캐나다인의 57%가 대학 학위를 취득했고, 11%의 캐나다인이 직업 교육 기관에서 수료증, 졸업장 및 견습 과정을 취득했다. 25~34세 캐나다인의 61%가 어떤 형태로든 고등교육(대학과정)을 이수했으며 이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한국에 이어 2위를 차지한다. 25~64세 캐나다인의 31%가 학사 학위 이상을 취득했고, OECD 평균인 31%와 거의 같다.




대학과정


캐나다 학생의 학사과정 입학 (Undergraduate entry)

캐나다에서는 고등학교 마지막 학년의 11월에서 1월 사이에 GPA 또는 대학에서 지정하는 제출서류로 대학입학지원서를 낸다.
지원자 중 높은 학업성취자를 대학에서 선발하고 3월말에서 5월말 사이에 합격결과를 통지한다. 미국학생 포함 국제학생(유학생)은 원본 제출 서류에 따라 대부분 4월 초까지 합격여부의 결과를 받게 된다. 어떤 경우에는 수수료(금전적인 부분, 학비 등)를 조기에 송금하면 대학에서 고등학생에게 11학년 입학을 허용하는 곳도 있다.

캐나다 대학 입학 지원시에는 지원서와 함께 고등학교 성적 증명서를 제출해야 한다. 입학 신청서류에는 학생의 성적표를 통해 표현할 수 없는 추가적인 학업 및 과외 활동 성취도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대학 준비 12학년 영어 과정 이수를 기본으로 한다. 또한, 수학, 자연 과학, 미적분, 생물학, 화학 및 물리학을 수강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전반적으로 대학은 11학년과 12학년의 과정에서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기준으로 입학을 결정한다.
대부분의 대학은 입학을 위해 GPA 컷오프를 설정하는데 이 컷오프는 특정 대학의 개별 학과(전공)의 경쟁력(선호도 높은 학과)을 기반으로 설정된다.
선호도 높은 우수학과는 평균 90% 이상의 컷오프를 가질 수 있지만 대부분의 유명 전공들은 대략 80% 정도의 컷오프를 유지한다.
지원 자격이 까다롭지 않은 대학의 경우 입학컷이 65%까지 낮아질 수 있다. 학생들은 대학에 지원하려면 11학년과 12학년의 고급 수준 과정을 수강해야 한다.
이런 배경으로 합격 여부는 전적으로 점수에 따라 결정되고 지원자의 출신 지역에 따라 고려되는 부분이 있다. 주 내 지원자는 주 외 지원자보다 성적 요건에서 유리하다.


학사과정 수업은 기본적으로 자국의 초,중등(고등)교육 기반으로 학생수준을 설정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유학하고자 하는 국가의 대학과정 이전의 학습과목과 수준을 알고 있는 것이 좋다.



1. 한국학생(유학생)의 캐나다 대학입학-고등학교 졸업자

대부분의 대학에서 기본적으로 한국학생에게 요구하는 입학서류는 인문계 고등학교 졸업증명서(Academic Upper Secondary School Certificate)와 수능성적표(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이다.
이에 더해 영어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영어능력 검정성적표를 갖추면 입학자격이 주어진다. 영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때는 대학에서 제시하는 연수기간을 거쳐 입학허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서류 마감시 미비된 서류는 최종 결과가 나오기 전에 보완 할수 있는지 문의해서 준비할 수 있다. 특히나 지원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전공학과)에 자리가 있는 경우 지원서를 다시 검토하여 선발 할 수도 있다.


영어 요구 사항

대부분의 학교에서 비슷한 수준을 제시하고 있지만 학교별, 전공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고 시험유형에 대해서도 학교마다 허락되는 것과 안되는 것이 있으니 지원시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공인영어시험 외에도 지원대학에서 준비한 검정시험을 통과해서 입학지원을 충족시키는 경우도 있다.

- TOEFL : 90 overall, 25 writing, 25 speaking
  electronic TOEFL scores는 입학허가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IELTS : 6.5 overall, 6.5 writing, 6.5 speaking, 6.0 reading, 6.0 listening
- CAEL or CAEL : 종합 70점(밴드당 60점), 70 writing, 70 speaking
- PTE Academic : 63 overall, 65 writing, 65 speaking
- Cambridge English test (C1 Advanced or C2 Proficiency) : 180 overall, 176 writing, 176 reading, 176 speaking, 176 listening
- Duolingo English test : 120 overall, 110 literacy, 110 production


모든 영어 시험은 진위 여부를 검증하고 허위 서류일때 불합격 처리 된다. 대체로 영어 공인성적증명은 시험 주관 기관에서 직접 대학으로 보낸 것만 인정한다.
고등학교 기간동안 영어로 수업하는 학교 시스템에서 풀타임 교육을 이수하고도 영어 시험을 낙제한 경우에도 입학허가를 하지 않거나 BASE(Bridge to Academic Success in English) 프로그램에 배정될 수 있다.
대체로 각 대학은 영어 점수가 충족되지 않는 유학생에 대해 학위과정을 시작하면서 대학 자체 영어프로그램을 동시에 진행하여 영어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연수비용 유료)을 가지고 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니지만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영어요건이 면제될 수 있다.

- 영어로 수업하는 캐나다내의 캐나다 학교에서 4년 이상의 정규 학업을 이수했거나 이수 중
- 영어가 주요 언어인 국가에 위치한 영어 학교에서 4년 이상의 정규 학업을 이수했거나 이수 중
- 모국어는 프랑스어이고 캐나다 학교에서 4년 이상의 정규 학업을 이수
위 면제기준 중 하나라도 해당하는 경우, 입학지원서 제출 후 '영어시험 면제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입학지원서와 모든 서류는 마감일보다 훨씬 일찍 양식과 필요한 모든 증빙 서류(예: 성적 증명서)를 제출하는 것이 좋다.


2. 한국대학 재학생의 캐나다 대학 입학

캐나다에서 인정하는 대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다닌적이 있거나 졸업한 경우, 학업 기록을 검토하여 연간 평균 성적을 참조하여 입학이 가능하다. 전공학과 입학 전제 조건은 입학에 필요한 최소 수준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최소 요구 사항 이상으로 인정된 대학에서 공부한 경우 학점 인정이 된다.
대학 입학의 전제 조건 및 성적 등, 지원하고자 하는 전공분야의 지원요건을 확인해야 한다.
단순히 대학원 프로그램이나 기타 전문 프로그램 자격을 얻기 위한 과정을 수강하고 싶다면 비학위 지원자로 지원하는 것도 고려 할 수 있다.

학사 이후, 석, 박사 과정 진학시 영어 요구 사항 : 상기 고등 졸업후 학사입학시 필요한 요구사항과 동일


이중 입학(이중 학위과정) (Dual admission) :

많은 캐나다 대학에서는 졸업 요건을 충족한 학생들에게 이중 입학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Columbia International College의 11학년과 12학년 학생들은 York University, University of Alberta, Brock University 및 Cape Breton University와 같은 캐나다 대학에 이중 입학을 신청할 수 있다.



College vs. university :

캐나다 대학교나 칼리지에 입학하려면 고등학교 졸업장(또는 이와 동등한 자격)을 취득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대학에서는 일반 교육 발달 시험, 연령 및 생활 경험, 입학 시험 또는 기타 기준과 같은 다른 결과를 바탕으로 지원자를 받기도 한다.

캐나다에서는 대학(College)과 대학교(university)의 차이가 미국이나 영국의 일반적인 기준과 상당히 다르다.
캐나다 대학(College)은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와 유사하다. 한편, 캐나다 대학교(유니버시티)가 미국 대학과 비슷한 면으로는 모든 캐나다 대학(university)은 2천만 달러 이상의 기부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부분 1억 달러를 초과한다.
캐나다의 거의 모든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의 대학은 공적 자금 지원(즉, 정부 보조금)을 받는다.
정부 지원을 받지 않는 소수의 민간 대학은 유명하지 않은 학교들이 대부분이고 1980년대 이후에 설립된 신생학교들로 대부분 브리티시 컬럼비아에 위치하고 있다.

지방마다 다른 캐나다 교육 시스템에서 대학(College)은 그래픽 디자인이나 애니메이션과 같은 보다 구체적인 기술 경력을 추구하는 개인에게 맞춰져 있고, 학문을 추구하는 일반적인 대학(university)은 학위가 전제 조건(의학이나 법 등)인 학문적 경력을 추구하는 개것에 목표가 있다.
학생들이 사회에서 직업에 들어갈 수 있는 다른 시스템(캐나다에서는 "기술 직업"이라고 함)이 마련되어 있으며, 일부 주에는 퀘벡의 예비 대학 수준과 같은 독특한 준비 시스템이나 학교가 있다.


대학원 과정 입학 :

캐나다의 대학원은 세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대학교(University)에만 국한되어 있다. (즉, 캐나다 칼리지에서는 석사 학위를 취득할 수 없다). 많은 대학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고 캐나다 대학원은 많은 유명한 발명품과 발견에 기여하고 있으므로 그 명성에 따라 캐나다의 대학원 프로그램에 입학하는 것은 쉽지 않다.


캐나다 유학 장학금

캐나다 유학 장학금은 글로벌 어페어 캐나다의 국제 장학금 프로그램에 따른 단기 교환 프로그램이다.


- 자격조건
✔ 적격 국가/영토의 시민권자
아시아: 방글라데시, 네팔, 대만
유럽: Türkiye, 우크라이나
중동 및 북아프리카: 알제리, 이집트, 요르단, 모로코, 튀니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 에티오피아, 가나, 코트디부아르, 케냐, 나이지리아, 르완다, 세네갈, 탄자니아, 우간다
✔ 적격 국가/영토의 고등 교육 기관에 풀타임으로 등록한 학생
✔ 신청 시점과 교환 기간 전체 동안 해당 기관에 수업료 지불

다음과 같은 경우 이 장학금을 받을 자격이 없슴
캐나다 시민권 또는 영주권 신청을 보류 중이거나 보유 중
캐나다 정부가 지원하는 장학금 프로그램에 이미 참여함
캐나다 고등 교육 기관의 학위, 디플로마 또는 자격증 프로그램에 이미 등록됨

학생 유치에 관심이 있고 다음 요건 충족하는 캐나다 고등교육기관(대학)이어야 함
✔ 지정 학습 기관(DLI)이어야 함
✔ 장학금 수혜자에 대한 수업료를 면제하는 학생의 소속 기관과 유효한 학생 교환 협정을 맺음(대학/학부 과정에만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