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bound

Austria/Republik Österreich

outbound
Austria/Republik Österreich

해외 장기체류시 필요한 날씨 정보 확인! 계절과 기온 정보로 문화권 이해와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생각할 수 있다.

우리나라 기온과 아래 월평균 기온을 비교해 보고 그외 강수량 정보도 알아두는 것이 좋다.

오스트리아는 중앙 유럽에 위치한 국가이며 스위스, 이탈리아, 독일, 슬로베니아, 헝가리, 체코 등 여러나와와 국경을 공유하고 있고 언어로 구분하면 독일어 문화권으로 볼수 있다.


기후조건 : 대체로 대륙성 온대기후로, 산악지역에서는 하루 종일 비가 올수도 있다.

*월별 평균기온*

(기준 도시: 빈)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최고 4 6 11 17 21 25 27 27 21 15 9 4
평균최저 -2 0 2 7 11 15 17 16 12 8 4 -1

위도와 경도 : 47.5162ºN, 14.5501º

국가구성원 : 오스트리아-독일 문화권에 속하는 독일인이 91%를 차지하고 있지만. 슬로베니아, 헝가리, 크로아티아 등 다른 유럽 국가에서 들어온 이민자들이 함께 구성되어 있다.

사용언어 : 공식 언어는 독일어이고, 슬로베니아어, 헝가리어, 크로아티아어도 지역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통용 화폐 : 유로(EURO)

교육제도

오스트리아는 무료 공립학교 시스템과 초, 중등과정에 해당하는 9년의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초등 이전에 유치원 과정인 3~6세까지 대상으로 선도교육과정이 있고 이 과정은 선택할 수 있다.
의무교육 9년은 초등과정(Volksschule) 4년과 중등과정 김나지움(Mittelschule) 4년과 우리나라의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과정 4년 중에서 1년을 포함한 기간이다.
고등과정은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4년의 교육과정을 커리큘럼으로 하는 학교와 직업교육을 목표로 2년 혹은 3년, 2~3년, 2~4년의 커리큘럼을 가진 다섯 종류의 학교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한다면 초,중,고등 의 각 4년씩 12년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된다.
직업교육을 목표로 한다면 초,중등 각 4년씩 8년을 마친 후, 폴리테크닉 연구소(Polytechnische Schule)등에서 의무교육기간인 1년 과정을 이수한 후 과정에 따라 1~4년 동안 직업 학교(Berufsschule) 과정을 이수하거나 각종의 학교에서 의무교육 1년을 포함한 1~4년 과정을 따르게 된다.
직업교육과정은 기업에 견습생으로 출근하며 학업을 하는 과정이므로 약 4개월 동안 주 5일 출근하는 block release 방식, 또는 같은 기간에 일주일에 한 번만 출근하는 day release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학교로 등교하는 날에는 회사에 갈 필요가 없고 통상 3년이 지나면 최종 견습 시험(Lehrabschlussprüfung)을 통해 과정을 완료한다.
교육제도는 지방 정부의 권한이 크기 때문에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오스트리아 교육체계는 질이 높고 평등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평가된다.



고등교육(대학과정) 시스템 (The System of Austrian Higher Education )


오스트리아의 정규대학과 8가지 학위인증 고등교육과정 (Item 8 of the Diploma Supplement)

오스트리아 정규 대학 부문(Hochschulsektor):

1.국가에서 관리하는 공립 대학교(Universitäten)

2.민간 조직에서 운영하는 사립 대학(Privatuniversitäten)


국가 인증으로 대학과정으로 인정받는 과정:

1.응용 과학 학위 프로그램-Maintainers of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degree programmes (Fach- hochschul-Studiengänge)- 사립 혹은 공립으로 설립되어 법에 따라 국가보조금과 국가 인증을 받음, 이 중 일부는 Fachhochschule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슴)

2. 교육 대학 (Pädagogische Hochschulen) - 공립 혹은 국가인증을 받은 민간기관에서 운영

3. 오스트리아 과학 기술 연구소 (The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ustria)

4. 철학 및 신학 대학교 (Philosophisch-Theologische Hochschulen) -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 운영.


비대학 고등 교육 부문(außeruniversitärer postsekundärer Sektor):

5. 사관학교(Militärische Akademien)

6. 비엔나 국제학부(Diplomatische Akademie) Vienna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7. 심리 치료사를 위한 특정 훈련 기관(Psychotherapeutische Ausbildungseinrichtungen)

8. 음악원(Konservatorien) - Conservatories



《각 과정(학사, 석사, 박사)의 학업 기본조건》


1.일반적으로 학사과정(undergraduate course) 입학 요건은,


- 오스트리아 고등학교(the Austrian higher secondary school) 졸업증명서(Reifezeugnis)소지

- 외국국적자는 이에 상응하는 외국 고등학교 졸업증명서 소지, 대학에서 요구하는 어학증명서

- 특별 대학입학자격시험(Studienberechtigungsprüfung)인 Matura를 통과, Matura에 대한 설명은 아래 참조, 외국국적자는 이에 상응하는 증명서 필요할수 있슴(성적증명서, 수능성적서 등의 요건)

- 중학교 과정까지만 이수한 경우, 추가로 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받아 고등학교 졸업증명서와 동등한 자격의 시험을 통과한 경우

- 예술학사의 경우, 입학시험을 통해 적성과 소질을 확인

- 응용과학대학 입학의 경우, 지원자의 이전의 직업 혹은 기술경험으로 선발 가능

- 일부 대학, 대부분의 응용과학대학, 교육대학은 각각에 맞는 입학허가 절차를 추가로 가지고 있으므로 지원시 각 대학의 입학허가 절차를 확인해야 한다.

- 유럽이외 국적자의 경우, 언어능력증명서와 고등학교 기록부(성적증명서 등)이 요구될 수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학부과정은 해당국가의 언어를 기본으로 하고 해당 언어 자격증을 요구하므로 오스트리아의 경우 독일어 자격증이 필요하거나 일부 대학에서는 영어능력으로도 입학이 가능하다.
입학 지원하는 학교의 모집 요강을 반드시 확인하고 지원해야 한다.


Matura

Matura는 고등학교과정(upper secondary school)의 졸업시험이자 대학(higher education)입학시험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의 수능시험과 유사한 점이 있다.

직업 학교와 달리 일반 교육에 초점을 맞춘 우리나라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고등단계의 김나지움gymnasium(AHS = Allgemeinbildende Höhere Schule)과정에서 Matura는 3~4개의 필기 시험(Schriftliche Arbeit, 각 시험당 4~5시간)으로 구성된다.

보통 5월에 하루 중 오전 반나절 동안 시험을 보고 약 한 달 뒤(보통 6월) 같은 반나절에 2~3회의 구술 시험을 치르게 된다. 모든 시험은 지원자가 마지막으로 다녔던 학교에서 실시된다.

지원자는 이전에 2월 초에 제출할 학술 논문(Vorwissenschaftliche Arbeit)을 작성해야 한다. 이 논문은 구술시험에서 참고하여 질의가 된다.(우리나라 대학입시의 수시전형 면접에서 학생부종합 면접과 유사하다고 볼수 있다.)

상업 아카데미(HAK = "Handelsakademie") 및 폴리테크닉(HTL = "Höhere Technische Lehranstalt")과 같이 비즈니스 및 경제 또는 기술 과목에 초점을 맞춘 직업 학교도 Matura로 마무리된다.

직업 학교에서는 직업훈련중점과목(Ausbildungsschwerpunkt)을 모든 학생이 이수하고, 이 과정이 주요 초점이 되며 Matura 시험의 필수 과목이기도 하다.

Matura의 등급 시스템은 오스트리아 학교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우리나라 수능시험과 내신성적 등급제와 유사하게 이해할 수 있다.

1 (sehr gut) : excellent (우수)
2 (gut) : good (좋음)
3 (befriedigend) : satisfactory (만족)
4 (genügend) : sufficient (충족)
5 (nicht genügend) : 실패

또한, 응시자의 결과표Maturazeugnis에는 공식화된 전체 과목별 평가가 포함되어 있다.

"mit ausgezeichnetem Erfolg bestanden"(우수 합격: 평균 1.5 이상, 3점 미만 등급 없음)
"mit Gutem Erfolg bestanden"(우수 합격: 평균 2.0 이상, 3점 이하 등급 없음) "bestanden"(통과: 4점 이하 등급 없음)
"nicht bestanden"(실패: 적어도 한 번은 5등급)
불합격한 응시자는 다음 학년도 9월/10월 또는 2월/3월에 시험에 다시 응시할 수 있다.


필기시험의 필수 과목은 독일어, 수학뿐 아니라 현대 외국어(보통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또는 이탈리아어)이다.

우리나라 수능시험과 마찬가지로 모든 연령대의 오스트리아인들이 마투라에 응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20대 이상의 성인은 일반적으로 지역 시험위원회에서 별도로 치러지는 최종 시험을 치르기 전에 성인 교육 사립 기관에서 개인 지도를 받고 응시한다.

오스트리아의 마투라(Matura)에 대한 비판은 계속되어 왔다. 특히, 현재 Matura 시스템은 암기 학습을 장려하고, 학생들의 창의성을 방해하며, 지식 체계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호하게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다양한 형태의 대체 평가가 제안되었으며, 특히 시험 상황에서의 포트폴리오, 팀워크 및 동료 검토가 가장 많이 제기되었다.


2.석사 과정 Master Programme (Masterstudium)


석사 프로그램은 학사과정 혹은 동등한 자격의 대학과정을 성공적으로 완료(학위수여)하는 것을 기본조건으로 한다. 일부 대학은 석사과정 입학시 학교 고유의 선발방식과 입학절차가 있다.

석사과정의 학업 영역/모듈은 대학의 커리큘럼에 지정되어 있다. 과정의 핵심적 학업수행은 석사논문 (Masterarbeit)의 완성과 석사통과시험(Masterprüfung)으로 완료된다.


3.박사과정 Doctoral Programme (Doktoratsstudium)


박사과정 입학은 특정 주제관련 디플로마 또는 석사학위 수여자을 기준으로 선발한다.

학업 과정은, 학위 논문 주제에 따라 커리큘럼이 명시되어 있고 연구과제는 독립적 연구의 결과로 이루어진 논문의 승인과 포괄적인 박사시험(Rigorosum)통과로 학위가 수여된다.